일상연구자 조텍

3절 사회적 영향

1) 사회적 영향

동조현상 : 집단의 압력이 있을 때 집단이 기대하는 바대로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을 바꾸는 것

극단적인 사례로 종교집단의 집단자살 등

사회적 영향 하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을 바꾸고 타인의 기대에 따라 행동하는데 사회심리학자들은 이것을

    동조의 핵심으로 봄

 

2) 정보적 영향

사람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정보의 원천으로 삼아 자기행동을 결정하는 경향이 있음

사회적 영향의 원인

개인적 수긍

다른 사람들이 옳다고 순진하게 믿기 때문에 실제로 그에 동조하는 것

공적인 수긍

겉으로만 동조하는 것으로 튀어 보이고 싶지 않기 때문에 이런 모습을 보임

3) 복종과 순종

복종 :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남의 명령에 따르는 것

순종 : 일단 어떤 행동을 하고 나며 그 행동과 일관된 태도를 받아들이는 경향

  예) 문간에 발 들여놓기 효과, 낮은 공 기법

 

4) 밀그램(Milgram)실험

다른 사람에게 고통을 가해야하는 상황에서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보일지 알아본 실험

대부분의 피험자들은 권위자에게 명령을 받았을 때 그 권위를 거부하지 못함

 

5) 집단 : 3명 이상의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고 공통의 필요나 목표가 있어 서로 영향을 미치는 상호의존적인 사람들

 

6) 짐바르도(Zimbardo)의 감옥실험

사회적 역할이 개인의 정체성을 뛰어넘을 것인지 알아본 실험

간수와 죄수 두 그룹의 학생들은 빠르게 자신의 역할에 몰입하였고 금세 지나칠 정도까지 되어 실험은 6일 만에 종료

 

4절 집단수행

1) 사회적 촉진(social facilitation)

타인이 있을 때 한 개인의 수행수준을 높이는 현상

Triplett (1898): 혼자 자전거를 탈 때의 속도 < 타인과 함께 자전거 탈 때의 속도

혼자 낚시줄 감는 아이의 속도 < 집단상황에서 낚시줄 감는 아이의 속도

사회적 억제

무의미한 철자 암기과업에서는 집단상황에서 수행정도 수준이 떨어짐

잘나가던 축구선수가 승부차기에서 실수하는 것

, 쉬운 과제- 수행수준 높임 / 어려운 과제- 수행수준 떨어뜨림

사회적 촉진이론 (social drive theory, Zajonc, 1965)

개인이 과제를 수행할 때 타인이 옆에 있으면 개인의 추동(각성)수준이 증가,

추동의 증가는 과제에 대한 개인의 수행을 촉진하나 복잡하고 어려운 과제에는 개인의 수행을 저하시킴

 

1) 사회적 촉진 1) 각성유발

사회적 촉진이론 (social drive theory, Zajonc, 1965)

개인이 과제를 수행할 때 타인이 옆에 있으면 개인의 추동(각성)수준이 증가,

추동의 증가는 과제에 대한 개인의 수행을 촉진하나 복잡하고 어려운 과제에는 개인의 수행을 저하시킴

  ⇒ 타인의 존재 각성 (긴장) 우세반응의 강화(정반응 or 오반응) 쉬운 행동 촉진 or 어려운 행동 저하

단순존재가설 (mere presence hypothesis, Zajonc, 1965)

타인의 존재는 개인의 흥분상태를 높여서 잘하는 반응은 더욱 잘하도록 하나 못하는 반응은 더욱

    못 하게 만듬.

타인존재만으로 개인은 이후의 상황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스스로 준비태세를 갖추게 하고 이것이 추동을 발생시킴.

) 홈그라운드 경기를 하는 선수들의 심리상태, 무대를 사랑하는 가수(밴드)

 

1 2) 평가우려

자기제시이론 (self presentation theory, Goffman, 1959)

사람들은 타인에게 자신의 이상적인 자기상을 보이고자 동기화 되어있음

타인이 있는 상황은 자신의 유능함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임

자의식이론 (Duval & Wicklund, 1973)

타인의 존재가 과제수행자의 자의식을 높임으로써 과제수행에 영향을 미침

타인으로부터 자신이 평가받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각성이 되고 이는 과제수행에 영향을 미침

주변인의 특성이나 기대가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주변인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을 때와 없을 때

 

1 3) 주의분산

주의분산-갈등가설(Sanders et al., 1978):

타인의 존재뿐만 아니라 주의분산을 일으키는 것은 모두 각성을 증가시킴

타인이 있을 때 과제에 집중하려는 경향과 타인을 주의하려는 경향 간 갈등이 생기며 그 결과로 흥분수준이 높아짐.

) 음악 들으면서 공부하기, 시끄러운 카페에서 책 읽거나 공부하기

 

2) 사회적 태만

여러 사람의 노력이 합산하여 집단 전체의 수행이 결정되는 과제(가산적 과제)에는 개인별 기여도가 쉽게 확인되지

   않으므로 자신의 수행평가에 덜 우려하게 됨. 따라서 책임감 분산으로 집단 구성원의 개인별 수행수준이 떨어짐.

   예) 줄다리기 할 때 힘쓰는 척하면서 줄을 힘껏 당기지 않은 경험, 함성을 크게 지르라는 응원단장의 호소에도

   불구 입만 벙긋함

링겔만효과 Ringemann effect (1920)

  - 독일인 근로자에게 가능한 힘껏 줄을 당기라고 요구하고 기계를 사용해 힘을 Kg으로 측정. 그 결과 혼자 당긴 경우        평균 85Kg의 평균압력, 7인 집단에서는 65kg, 14인 집단은 61kg으로 줄어 듬

발생원인

과제의 특성

  - 흥미가 떨어지는 과제

  - 과업자체가 참가자의 동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집단 상황에서 수행수준을 낮춤

  - 단순한 과제

개인의 수행정도를 타인과 비교할 수 없음

집단구성원의 노력을 하나로 통합하지 못하면서 수행수준이 떨어짐

) 줄다리기 할 때 구호에 맞춰 힘주는 이유

 

대처전략

개인의 동기를 유발해야 함

  - 과제를 열심히 하는 것이 과제의 성공적 수행에 중요하다는 인식의 고취

  - 사회적 보상효과 : 자신의 노력을 배가해서 집단 전체의 노력이 부족한 부분을 메우는 것

명확한 기준에 따른 개인의 기여도 평가

문화적 요인의 고려

  - 집단주의적 문화가 사회적 태만의 경향을 완화함

3) 몰개성화

  - 집단으로 행동하는 상황에서 구성원 개개인의 정체성과 책임감이 약화되는 현상

4) 규범부상이론

  - 개인이 무리 속에서 어떻게 행동하느냐는 당시 상황이 촉발하는 규범에 의해 더 잘 설명된다고 보는 이론

 

 

5절 집단의사결정(group decision making)

  - 집단의 결정이 개인의 결정보다 더 합리적이고 올바르다고 생각함. 과연 그런가?

 

1) 집단극화(group polarization)

집단의 의사결정은 구성원이 내린 결정보다 더 극단적으로 결정하는 경향이 있음

모험적 이행(risky shift)

  - 구성원의 최초 의견이 평균적으로 모험적일 때 집단의사결정은 더 모험적이 됨

보수적 이행(cautious shift)

  - 구성원의 최초 의견이 평균적으로 신중하면 집단의사결정은 더 신중하게 됨

 

2) 집단극화의 원인

설득주장이론 (Brauer, Judd, & Gilner, 1995)

  - 토론을 통해 의견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정보가 제공됨 자신의 태도를 확신하게 되는 근거태도의 견고화

사회비교이론 (Sanders & Baron, 1977)

  - 각 개인의 태도는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결정됨. 의견이 같을 때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이 채택되길 바라고

극단적 태도가 더 확신에 찬 모습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사회적 바람직성을 띄게 됨.

다원적 무지 (Fields & Schuman, 1976)

집단 구성원 대부분이 실제로는 어떤 규범을 부정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이 규범을 수용하고 있다고 잘못 생각하는

    현상

집단에 대한 집단편향 소수의 의견을 다수의 의견으로, 다수의 의견을 소수의 의견으로 잘못 인식

사회정체성이론 (Hogg, Turner, & Davidson, 1990)

  - 사람들은 내집단의 신념과 가치관을 수용하면서 외집단과의 의견차를 극대화 함

 

3) 집단사고(group think)

집단의사결정 과정 중 동조압력으로 인해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합의에 도달하는 현상

집단의사결정 과정에 존재하는 동조압력으로 인해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합의에 도달하는

    현상 (Janis, 1982)

선행조건

높은 응집성

집단 격리

합리적 의사결정의 결여

지시적 리더

높은 스트레스

집단사고의 증후

완전하다는 착각

옳다는 도덕적 신념

집합적 합리화

외집단에 대한 고정관념

반대자에 대한 직접적 압력

자기검열

만장일치의 착각

잘못된 의사결정

대안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음

목표를 충분히 검토하지 않음

위험요인을 검토하지 않음

미약한 정보검색

대안을 재평가하지 않음

잘못된 경우를 대비한 계획수립 실패

 

4) 집단사고의 예방을 위한 방지책

공평해야 한다.

비판을 장려해야 한다.

집단을 나누고 분위기 차이를 재결합한다.

외부 전문가의 비판을 수용한다.

계획이행 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2차 회의를 갖는다.

 

5) 사회집단에서의 위계질서와 관련된 이론들

사회적 지배이론

인류사회의 성장으로 인해 사회의 문화적 가치에 따라 위계질서가 만들어졌고 사람들은 이를

정당화하는 신념을 가진다는 것

체제정당화이론

체제의 일을 정당화하기 위해 고정관념을 가져다 붙여 설명한다는 것

상보적 고정관념

모든 집단은 긍정적인 특성과 부정적인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하위계층의 지지를 얻는 한 가지 방법

상대적 박탈감

개인은 비교가 되는 다른 집단의 상황과 자기 자신과의 조건을 비교함으로서 자신이 박탈되고

있다고 여김. 또한 자신이 더 유리하면 이에 따라 상대적 만족을 갖게 되는 것으로 보임

6절 친사회적 행동

 1) 도움행동의 기본동기

진화심리학

진화론에 입각하여, 새로운 특성이나 행동경향이 세대 전파에 유익할 때 종이 그런 특성을 진화시킨다는 설명

사회교환

사회교환이론은 우리 행동의 많은 것들이 보상을 극대화하고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바람에서 비롯된다는 것

사회규범

단순한 이득계산을 뛰어넘어 미묘한 형태의 자기이해관계로 인한 도움

공감과 이타주의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공감을 느낄 때 순전히 이타적인 이유에서 타인을 도우려고 한다.

2) 친사회적 행동

개인특성

성격, 성차, 종교적 신앙, 문화적 차이, 기분

상황요인

환경, 주거이동성, 방관자효과, 시간적 압박, 유사성, 공동체 관계, 미디어효과 등

3) 친사회적 행동의 증진

도움의 방해요소 제거

애매성의 감소와 책임증가, 개인화된 호소, 죄책감과 자아상의 염려 등

이타성의 사회화

도덕적 교육, 이타성 모델화, 행위를 통한 학습, 도움행동을 이타성에 귀인, 이타성 학습 등

 

 

                             ----중앙대학교 박준성교수님 사회심리학 강의 일부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