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관계이론
1. 대상관계이론이란
- 생애 초기에 양육자와 형성한 관계에서 비롯된 경험은 개인이 전 생애 동안 타인을 지각하고 이해하며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본 틀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즉, 생애 초기의 관계에 대한 경험이 일생 동안 반복해서 재현되는 것으로 생애 초기에 형성되는 양육자와의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대상관계이론의 발달
- 대상관계이론은 정신분석학의 주요 이론 중 하나로 영국에서 발생하여 영국정신분석학회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기존 프로이트의 이론에 대한 비판과 함께 독자적인 이론체계로 발전해나간 정신역동이론으로서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이론, 융(Jung)의 분석심리이론, 호나이(Horney)의 신경증적 성격이론 등과 달리, 대상관계이론은 기존 정신분석이론의 기본적인 주정을 수용하면서 발전하였다.
대상관계이론에서 대상(object)이란 다른 사람(중요한 타인)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이론은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 맺는 관계, 즉 대상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며 특히 초기 아동기에 성격구조가 발달하는 과정을 중시하는 이론이다. 대상관계라는 개념은 프로이트가 제안했는데, 이후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 윌리엄 페어베언(William Fairbairn), 도널드 위니코트(Donald Winnicott), 마가렛 말러(Margaret Mahler), 하인츠 코허트(Heinz Kohut) 등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3. 이론의 특징
① 대상관계이론은 단일한 이론이라기보다는 일련의 이론들로서, 그 공통점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다만, 모든 대상관계이론을 공통적으로 타인과의 관계를 중시한다.
② 고전적 정신분석이론이 성적 추동을 일차적인 것으로 보는 반면, 대상관계이론은 개인이 다른 사람과 맺는 관계를 일차적인 것으로 본다. 즉, 전통적 이론이 추동 만족에 초점을 두는 반면, 대상관계이론은 관계추구를 강조한다.
③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나타나는 남근기 이전의 유아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겪게 되는 내면적 경험과 갈등에 초점을 둔다. 유아-어머니의 이원적 관계 속에서 추동이 발생하며, 이러한 관계는 서로 떼어놓을 수 없다. 또 어린 시절의 갈등 경험은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성인기의 대인 관계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친다. 즉,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으로서 관계패턴은 생애 전체를 통해 되풀이되는 경향이 있다.
④ 대상관계이론은 고정적 정신분석에 의해 잘 치료되지 않았던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와 경계선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의 치료에 크게 기여하였다.
4. 주요 개념
① 대상 (Object)
본래 프로이트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서, 추동(Drive)에 의해 목표가 되는 그 무엇을 의미한다. 대상은 특정 사물일 수도 혹은 추동이 향하는 표적일수도 있다. 다만 대상관계이론에서는 어떤 비인간적인 사물을 의미하기 보다는 갈망이나 행동이 지향하고 있는 사람을 지칭한다. 즉, 어머니를 비롯하여 개인이 관계를 맺게 되는 타자를 총칭한다. 개인은 사람들을 사람 자체로 대하는 것이 아닌 인식하고 느낀 존재로 대한다. 따라서 중요 인물들은 모두 각각의 대상으로서 정신적으로 표상된다.
② 외부대상 (External Object)과 내부대상(Internal Object)
-외부대상은 성장 초기 혹은 현재에 주체의 주변에서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중요한 타자들을 의미하며, 내부대상은 개인이 성장 초기에 중요한 사람과의 경험으로부터 형성된 심리적인 구조의 한 부분으로서, 초기관계의 흔적이 그의 성격의 일부분으로 남아있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대상과 외부대상은 상호적인 관계에 있다. 즉, 내부대상은 현재의 외부대상에 대한 선택이나 외부대상과의 관계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는 한편, 현재의 외부대상에 의해 수정되기도 한다.
③ 중간대상 (Transitional Object)
내부대상 혹은 주관적 대상이 아니면서, 그렇다고 단순히 외부에 실재하는 대상도 아닌, 즉 외부대상과 내부대상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는 대상이다. 유아는 실재 대상으로서 어머니가 없어도 곰 인형, 평소 덮던 담요, 인공젖꼭지 등이 옆에 있을 때에 심리적인 안정을 느끼게 된다. 이때 곰 인형이나 담요는 실제로 곰 인형이나 담요로 인식되면서도 그것에 부여된 애착관계로 인해 유아로 하여금 강한 정서를 유발한다.
④ 표상 (Representation)
이 세계는 외부세계와 내부세계로 구분된다. 외부세계는 사회 환경, 일상적인 세계에 존재하는 관찰 가능한 대상들의 영역을 의미하는 반면, 내부세계는 외부세계에 대한 개인의 정신적 이미지를 의미한다. 표상은 외부세계에 대해 주체로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신적 이미지로서, 개인이 이 세계를 이해하거나 자신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틀이다. 표상은 대상관계가 내면화된 것으로서, 일차적으로 개인이 유아기 때 자신의 일차적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의존하던 사람과 맺었던 관계의 잔재 혹은 흔적이 남음으로써 발달함으로 한 개인의 행동의 의미와 동기를 이해할 수 있도록 실마리를 제공한다.
⑤ 자기표상 (Self Representation)과 대상표상 ( Object Representation )
표상은 타인 대상에 대해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닌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형성된다. 자기표상은 발달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정신적 표현으로서, 이는 유아가 환경 속에서 대상이나 주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경험된다. 유아는 초기에 자기와 대상을 구별할 능력이 없으나 점차 자기와 타인 대상을 구별하기 시작하면서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을 구별하기 시작한다.
개인의 내면적 이미지는 그것이 자기에 관한 것이든 그의 일생에서 중요한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잔상을 남기며, 이는 내면화되어 이후 대상과 세상에 대한 태도, 반응, 지각 등에 대한 심리적인 틀을 형성하게 된다.
⑥ 내면화(Internalization)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주요 타자와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상호작용이나 환경의 특성을 내면적인 규범이나 특성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내면화는 유아의 자연적인 심리적 현상으로서, 환경을 자신에게 우호적인 것으로 만드는 과정으로 환경이나 대상의 특성을 내면으로 받아들여 이를 자신의 특성으로 변형시키게 된다.
-내면화는 자기와 대상의 분화 정도에 다라 다음의 3가지 과정으로 전개된다.
㉠ 함입 (Incorporation)
: 자기-대상의 명확한 경계가 형성되기 전 대상의 특성이나 대상과의 경험이 자기 내면으로 받아들여져 미분화된 자기-대상 표상으로 사라지는 기제이다.
㉡ 내사 (Introjection)
: 자기와 대상이 어느 정도 분화된 상태로 대상의 행동이나 태도, 기분이나 분위기 등이 대상이미지로 보존되는 기제이다. 이때 내사된 대상은 자기의 내면세계에서 정서적인 힘을 행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생생하게 내면화된다.
㉢ 동일시 (Identification)
: 내사된 대상의 특성들을 선별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자기표상으로 동화시키는 기제이다. 함입이나 내사보다 세련된 내면화 기제로서, 초기 발달 과정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삶이 지속되는 동안 계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