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심리학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인물로는 프로이트, 아들러, 융 , 머레이, 분트 등이 있다.
심리학에 관심이 있거나 조금이라도 공부를 해 본사람이라면 누구나 알수 있는 이름들이다.
그중에서 제일 유명한 사람은 프로이트겠지만 요즘들어 한국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사람은 아들러 일것이다.
미움받을 용기라는 책이 베스트 셀러가 되면서 그에 대한 아마 일반인들의 관심이 커진듯하다.
그것을 계기로 아들러가 어떤 사람 인가 그의 이론은 어떤 내용인가에 대해 알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난것 같다.
그래서 이번 심리 공부의 주제로 아들러의 개인 심리학을 정했다.
이번 요약으로 아들러와 아들러가 주장한 이론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되면 좋을듯하다.
**아들러의 생애
• 아들러(Alfred Adler,1870-1937), 비엔나에서 6형제 중 2번째로 출생
• 형의 그늘, 신체적인 열등이 항상 문제
• 1895년 비엔나 의과대학을 졸업, 일반의
• 1902년 프로이트와의 관계 – 지역신문의 프로이트 공격에 방어가 계기
• 1907년 기관 열등감과 정신적 보상
• 1908년 공격성을 일차적 추동으로 대체(공격성 추동)
• 1910년 정신분석학회 초대회장 1911년에 사표
• 1912년 개인심리학회 창설 – 프로이트 이론의 대안적인 해석
• 1912년 신경증 체제(The Neurotic Constitution) 책 발간
• 정신건강 – 우월성 추구와 열등감
• 심리치료 – 환자의 자존감 향상, 개인의 사회적 관심을 강화, 사회적으로 유용한 행동과 방향을 재정향
• 생활양식 – 초기회상, 출생순위, 꿈을 통한 이해
• 1922년 아동생활지도 클리닉 창설(예방 중심)
• 1932년 뉴욕 롱아일랜드 의과대학교 교수 임명
• 1937년 5월 스코틀랜드의 에버딘에서 심장마비로 사망
** 이론의 특징
무의식이 아닌 의식을 성격의 중심으로 본다.
인간을 전체적, 통합적으로 본다.
생애 초기 (대략 4~6세)의 경험이 성인의 삶을 크게 좌우한다.
인간은 창조적이고 책임감 있는 존재이다.
인간은 성적 동기보다 사회적 동기에 의해 동기화된다.
열등감과 보상이 개인의 발달에 동기가 된다.
인간의 행동은 목적적이고 목표지향적이다.
인간은 미래에 대한 기대로서 가상의 목표를 가진다.
사회적 관심은 한 개인의 심리적 건강을 측정하는 유용한 척도이다.
개인은 세 가지 인생과제, 즉 ‘일과 여가 (Work & Leisure)’, ‘우정과 사회적 관계 (Friendship & Society)’, 그리고 ‘성과 사랑 (Sex &Love)’을 가진다.
개인의 행동과 습관에서 타인 및 세상에 대한 태도 등 삶에 전반적으로 적용되고 상호작용하는 생활양식이 나타난다.
** 주요 개념
열등감과 보상 (Inferiority and Compensation)
-열등감은 개인이 잘 적응하지 못하거나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직면하는 경우 나타나는 무능력감을 말한다.
-열등감을 동기유발의 요인으로서 인간의 성숙과 자기완성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보상은 잠재력을 발휘하도록 유도하는 자극으로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연결되며 이를 통 해 열등감을 긍정적으로 해결, 신체적 · 정신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충족시킴.
• 인간은 누구나 어떤 측면에서 열등감을 느끼고 있다
• 현재보다 나은 상태인 완전성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존재이기 때문
• 사회적 존재로서 타인과의 비교를 통한 자신을 평가하기 때문
• 자기완성을 위해서 자신이 느끼는 열등감을 극복해야 함
• 자기완성 – 열등감 필수, 긍정적 열등감
• 열등감의 심리적 건강과 신경증에 이르는 과정
• 개인이 열등감을 극복하고 완성에 도달하기 위한 우월성 추구 – 건설적 생활양 식으로 심리적 건강에 달성
• 개인이 열등감을 개인적 우월성 추구에 집착하면 파괴적 생활양식으로 신경증에 빠짐 -> 열등감 콤플렉스를 경험
• 열등감 콤플렉스 – 주어진 문제를 사회의 유용한 방식으로 해결하기에 충 분히 강하지 않은 사람이 갖는 특성
• 이 콤플렉스는 아동기 때 어른들의 양육방식에 의해서 나타남
• 어릴 때 비롯된 세 가지 열등감 콤플렉스는 성년이 된 후 신경증의 요인이 됨
• 기관열등감 – 신체와 관련, 외모, 신체건강, 불완전, 다른 아동과 성공적인 경쟁이 불가능
• 과잉보호 – 자녀교육, 얼마나 독립적으로 키우냐의 교육방식, 자신감 결여, 그 결과 문제해결 시, 할 수 없다는 열등감 을 경험
• 양육태만 – 부모가 최소한의 도리를 하지 않는 것, 깊은 사랑과 관심이 없음, 자신이 필요하지 않다는 열등감을 경험, 회피와 도피, 애정과 존경에 문제
2. 우월성의 추구 또는 우월을 향한 노력 (Striving for Superiority)
-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우월의 추구
-우월에 대한 욕구는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것, 열등감을 보상하려는 선천적인 욕구에서 비롯됨
-개인으로서 자기완성을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사회의 일원으로서 문화의 완성을 위해 힘쓴다.
-개인적 우월성을 강조하는 경우 부정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반면, 이를 사회적 이타성으로 발전시키 는 경우 긍정적인 양상으로 전환된다.
• 우월성(superiority) – 자기 완성, 자아실현
• 인간의 자기 신장, 성장, 능력을 위한 노력의 근원 – 열등감
• 우월성의 추구로 설명 – 인간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삶의 일관성과 통일성을 부여하는 것은 무엇인가, 인간은 단지 열등감의 해소만을 추구하는가, 인간은 단지 타인을 능가하기 위해서만 동기화 되는가
• 우월성 추구의 경향성 – 부족->보충, 낮은 것->높게, 미완성->완성, 무능->유능
• 모든 사람의 선천적인 경향성으로 환경을 통제, 동기의 지침으로 행동발현
• 모든 인생의 문제 해결의 기초
• 인간을 현 단계에서 보다 높고 넓은 단계로의 발달
• 모든 욕구는 완성을 위한 노력이기에 분리된 욕구란 존재할 수 없음
• 우월성의 특징
1) 유아기의 무능과 열등에 뿌리를 두고 있는 기초적인 동기이다
2) 정상인 비정상인에게 공통적으로 존재한다
3) 추구의 목표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방향이 있다
4) 우월성의 추구는 많은 힘과 노력을 소모하는 것이므로 긴장이 해소되 기보다는 증가한다
5) 우월성의 추구는 개인 및 사회 수준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 사회적 관심을 가진 바람직한 생활양식을 바탕으로 한 우월성 추구가 건강한 삶
3. 사회적 관심 (Social Interest)
-사회적 관심은 개인이 이상적 공동사회 추구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성향
-개인은 다른 사람들과 유대관계를 맺으려는 소속의 욕구와 함께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사 회 속에서 실현하려는 욕구를 가지며 사회적인 기여를 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건강한 삶의 본질이 다.
-사회적 관심은 아동기의 경험에 의해 발달하기 시작하며, 특히 어머니에게서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개인의 목표를 사회적 목표로 전환하는 것으로서, 심리적 성숙의 판단기준이 됨
-사회적 관심이 발달하는 경우 열등감과 소외감이 감소, 이를 통해 개인의 심리적 건강을 측정
4.생활양식 (Style of Life)
-개인이 지니는 독특한 삶의 방식을 생활양식으로 제시
-생활양식은 개인이 자신과 타인 그리고 세상에 대해 가지는 나름대로의 신념체계를 지칭하는 것은 물론, 개인으로 하여금 일상생활을 이끌어 나가도록 하는 감정과 행동방식을 의미
-대략 4~5세경 결정되며, 특히 가족관계 또는 가족 내에서의 경험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개인의 생활양식의 연속성을 이해할 수 있을 때, 그의 부적응적인 신념과 행동을 수정하고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
• 생을 영위하는 근거가 되는 기본적 전제와 가정
• 생활양식의 삼단 논법
• “나는 ~이다; 세상은 ~다; 그러므로 ~다”
• 생활양식에 따라 생각하고 느끼며 행동
• 인간은 우월성이나 완전성과 같은 한 가지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 하지만, 이러한 목표를 향한 개인들의 구체적인 행동은 다양
• 사람들은 자신에게 의미를 주는 삶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각기 독특한 생활양식을 발달
-> 서로 구별되는 생활양식을 발달
• 생활양식의 발달 이해 – 열등감과 보상의 개념이 필수
• 이 개념들은 생활양식의 근본을 결정(p. 88, 밑에서부터 10째줄)
• 개인의 생활양식은 독특한 열등감을 보상하기 위한 행동적 노력
• 생활양식의 형성시기 – 네 살부터 다섯 살 때, 이 후 거의 변하지 않음
• 계속해서 새로운 방식의 생활양식을 배우지만, 이는 확대구조일 뿐
• 결국 초기에 형성된 생활양식은 계속 유지되고 행동방식은 근간
• 개인의 독특한 생활양식은 그가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모든 것의 기반
• 형성된 생활양식은 전반적인 태도를 결정, 일관성 있게 유지
• 인생의 과제 – 직업(occupation), 사회(society), 사랑(love)
• 이 세 가지 인생과제는 상호관련
• 그 해결 방법 또한 생활양식에 달려 있음
• 한 문제의 해결은 다른 문제의 해결을 돕고, 실제 여러 인생과제도 비슷
• 인생과제는 생을 유지하고 진전시키는 이유이자 자신을 발견
• 아들러는 인생과제와 생활양식을 단순화 시켜 유형화 하였음
• 이차원적인 생활양식 모형
• 사회적 관심 – 심리적 성숙의 주요 기준이자 비이기적인 것
• 활동수준 – 인생의 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의 에너지 양, 어릴 때 형성
4-1. 생활양식의 4가지 유형
- 이 유형은 아들러의 인생 경험에서 비롯
A.지배형 (Dominant or Ruling Type)
-활동수준은 높으나 사회적 관심은 낮은 유형
-부모가 지배하고 통제하는 독재형으로 자녀를 양육
-지배와 복종, 독선적, 공격적, 활동적, 사회적 관심 거의 없음.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거나 그들을 착취함으로써 자신의 우월성을 성취하려는 경향
B. 획득형 또는 기생형(Getting Type)
-활동 수준은 중간(비교적 낮은 수준), 사회적 관심은 낮은 유형
-부모가 자녀를 지나치게 과잉보호, 독립심을 길러주지 못할 경우
-기생적인 방식으로 외부세계와 관계를 맺으며,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여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킴
-가능한 한 많은 것을 소유하는데 관심을 가짐, 다른 사람에게서 모든 것을 기대하는 반면 아무것도 되돌려주지 않음
C. 회피형 (Avoiding Type)
-참여하려는 사회적 관심도 적고 활동 수준도 낮은 유형
-자녀교육 시 자녀의 기를 꺾는 경우 나타날 수 있다.
-성공하고 싶은 욕구보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더 강함 -> 도피하려는 행동
-매사에 소극적이며 부정적인 태도, 자신감 결여, 적극적인 직면의 부담
-시도하지도 않고 불평만 늘어놓음으로써 사회적 관심이 떨어져 고립됨
-안 돼, ~하지마 등의 표현이 결국 고립하게 함
D. 사회형 또는 사회적으로 유용형 (Socially Useful Type)
-사회적 관심과 활동 수준이 모두 높은 유형
-높은 사회적 관심과 활동성, 긍정적인 태도의 성숙한 사람, 심리적으로 건강, 타인과의 적극적 협동, 타인의 안녕에 관심
4-2. 생활양식의 기본오류 (Mosak & Dreikurs)
-과도한 일반화 (과잉 일반화)
예) “모든 사람들은 적대적이다.” “인생은 항상 위험하다.”
-그릇된 확신 또는 불가능한 목표
예) “나는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해야 한다.”
-인생과 삶의 요구에 대한 잘못된 인식
예) “인생은 결코 나에게 휴식을 주지 않는다.” “사는 것이 너무나 힘들다.”
-자신의 가치에 대한 부인
예) “나는 어리석다.” “나는 사랑받을 만한 자격이 없다.”
-잘못된 가치
예) “다른 사람보다 높은 지위에 오르려면 반드시 정상을 차지해야 한다.”
4-3. 인생과제
• 세 가지 주요 인생과제 – 일과 여가, 우정과 사회적 관계, 성과 사랑
• 후학에 의해 발전된 다섯 가지 주요 인생과제 – 안녕(wellness) 차원에서
• 인생과제 1: 영성
• 인생과제 2: 자기지향 – 1,2 과제가 추가됨
• 인생과제 3: 일과 여가
• 인생과제 4: 우정과 사회적 관계
• 인생과제 5: 성과 사랑
• 생활 세력 – 개인의 안녕에 영향을 주는 사회 제도적 측면을 의미
• 지구촌 차원 사건 –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침 (전쟁, 기아 등)
5.창조적 자기(Creative Self)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을 특징짓는 개념 : 인간이 스스로 자신의 삶을 만들어 나간다는 것을 의미
-자유와 선택을 강조하는 개념, 개인이 생(生)의 의미로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과정
-자기의 창조적인 힘이 인생의 목표와 목표추구 방법을 결정하며, 사회적 관심을 발달시킴
-개인은 유전과 경험을 토대로 창조적 자기를 형성하며, 자신의 고유한 생활양식을 형성
6. 가상적 목표 (Fictional Finalism)
-개인이 추구하는 궁극적 목표
-미래에 실재하는 것이 아닌 현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미래에 대한 기대로서의 이상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가상적 목표를 파악하여 개인 내면의 심리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6-1. 허구적 최종목적론
• 인간은 현재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삶의 목적을 향해 노력하는 존재
• 삶의 목적은 최소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생활양식이어야 함
• 인간의 행동에는 목적이 있다 -> 허구적 최종목적론 – 미래의 실재
• 허구적 최종 목적론 – 허구 또는 이상이 현실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 인간의 행동 -> 과거 경험보다 미래에 대한 기대에 의해 좌우
• 허구적 최종목적론은 여기-현재에 존재를 의미
• 인간의 궁극적 목적은 허구로서, 실현 불가능할 수 있지만, 행동의 원인, 충동, 본능, 힘 등을 뛰어넘는 행위의 최종 설명
• 최종의 목적이 인간의 행동을 설명 – 목적론의 불가역성을 강조
7. 초기기억 (Early Recollections)
-사람들은 과거 사건들을 선택적으로 기억하므로 선택적 회상에 의한 인간관계 및 상황들은 그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들이다.
-초기기억은 생후 6개월부터 9세까지의 선별된 기억들로서, 개인의 생활양식, 잘못된 신념,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목표에 관한 의미 있는 단서를 제공
-초기기억은 개인적인 생활양식의 원형이거나 삶의 계획이 개인 특수적인 형태로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한 유용한 암시이다.
-상담장면에서 초기기억을 통해 내담자 개인의 생활양식에 관한 밑그림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담자의 삶의 목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8. 출생순서 (Birth Order)
첫째아이 (맏이) |
태어났을 때 집중적인 관심을 받다가 동생의 출생과 함께 이른바 ‘폐위된 왕’의 위치에 놓임 윗사람에게 동조하는 생활양식을 발달시킴, 권위를 행사하고 규칙과 법을 중시 |
둘째아이 (중간아이) |
‘경쟁’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며, 항상 자신이 첫째보다 뛰어남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함 |
막내아이 |
과잉보호의 대상, 능력 있는 형제들 – 독립심 부족, 열등감 경험 |
외동아이 (독자) |
응석받이, 자기중심적이고 의존적인 경향, 자신의 중요성에 대한 과장된 견해를 가질 수 있다. |
가족구도(family constellation)/출생순위(birth order) • 가족구도와 출생순위 – 생활양식 형성에 중요 • 어떠한 가족구도를 형성하고 있는가 – 자녀의 생활양식에 중요
• 자녀의 수, 출생순위도 성격형성에 매우 중요
• 출생순위와 가족 내 위치에 대한 해석은 어른이 되었을 때 세상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침
• 과업보다는 관계에서 많은 영향을 미침
• 아들러 학파의 치료에서는 형제 간의 관계를 중시 여김
**성격 평가 기법
성격평가 – 개인의 생활양식을 파악하는 것
• 전형적인 생활양식조사
• 초기회상
• 개인생활양식을 파악하는데 필수, 내담자가 회상하는 실제적인 사건에 대한 기억
• 기억은 우연히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내재되어 있는 사건의 기억
• 이는 실재 생활양식의 모태로서 기능
• 꿈분석
• 어린 시절의 꿈과 더 최근에 재현한 꿈에 대해 관심
• 꿈은 목적을 가지고 있고 개인의 생활양식을 보여준다고 믿음
• 개인의 자신의 미래에 대해 좋아하거나 두려워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유용
• 상징은 꿈에 고정된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음, 현재의 변화와 발달을 평가하는데 사용
• 꿈은 가족구도와 초기 회상의 부가물로써 사용
• 전형적인 생활양식조사
• 출생순위 분석
• 초기 가족관계, 친구, 선생님과의 관계를 파악, 가정은 사회의 축소판
• 부모의 가치관, 상호작용, 아이들과의 관계는 중요한 정보
• 상담 시, 가족 간의 상호역동성에 대한 질문을 진행
• 기본적 오류
• 개인의 생활양식의 자기 패배적인 측면
• 오류에 대한 다섯 범주 – 과일반화, 안전 추구를 위한 그릇되었거나 불가능한 목표, 인생과 인 생의 요구들에 대한 잘못된 지각, 개인가치의 최소화 또는 부인, 그릇된 가치
• 사적 논리 – 나는 누구인가, 세계는 무엇인가 등에 대한 질문, 삶에 적응하기 위해 사용
• 사적 논리가 중요 – 적응적이기도 하고 부적응적이기도 함
• 전형적인 생활양식조사
• 자질
• 정직, 학문적이거나 직업적인 기술, 대인관계 기술, 또는 가족에 대한 배려와 같은 특성들을 포함
• 자질의 예
• 그/그녀는 추진자이다. 그는 어떤 일에 생각이 미치면 그 일을 해내고 만다
• 그 /그녀는 창조적으로 문제 해결을 하고 있다
• 그 /그녀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어떻게 얻어야 할지를 알고 있다
• 그 /그녀는 바쁘게 사는 방법을 알고 있다
• 그 /그녀는 남자/여자에게 기분 좋게 요청하는 법을 알고 있다(김정희, 이장호 역, 1998)
** 프로이트와 아들러의 인간관 비교
프로이트와 같이 아들러는 성인의 삶이 초기 대략 5년 동안의 경험에 의해 상당 부분 결정된다고 봄. 그러나 프로이트가 발달 초기의 사건들에 대한 탐색을 강조한 것과 달리, 아들러는 과거에 대한 개인의 지각과 초기 사상에 대한 해석이 현재의 행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있다.
프로이트는 생물학적 결정론에 기초하여 성적인 충동에 의해 동기화 된다고 보며 리비도를 강조하였으나 아들러는 사회적인 충동에 의해 동기화 된다고 보며 사회적 요인들의 중요성을 (인간의 선택과 책임, 삶의 의미, 성공과 완벽에 대한 욕구)를 강조함
프로이트는 인간을 비합리적이고 무의식적 본능의 지배를 받는 존재로 아들러는 가치, 신념, 태도, 목표, 현실지각 등에 의해 합리적으로 결정하고 계획을 세우며,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하는 존재로 봄
프로이트는 인간을 무기력한 존재로 보았으나 아들러는 창조적인 존재로 보았으며 이와 같은 창조성의 원천을 인간이 지닌 기본적인 열등감에서 찾았으며, 인간의 열등감이 숙달, 우월, 완전을 추구하도록 동기화한다고 강조. 즉 아들러는 인간이 단지 유전과 환경에 의해 결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환경에 영양을 미치고 환경을 창조하는 능력을 지닌다고 봄
프로이트는 환원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의 성격을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구분하였으나 아들러는 총제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의 성격을 통합적이고 분리할 수 없는 전체로 보았다
프로이트는 인간 전체를 과잉 일반화하려 했으나 아들러는 개인의 고유성을 이해하려는 방향으로 나아감
**프로이트와 아들러 이론의 비교
구분 |
프로이트 (Freud) |
아들러 (Adler) |
에너지의 원천 |
성적본능 (Libido) |
우월에 대한 추구 |
성격의 개념 |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역동 |
생활양식 |
성격의 구조 |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의 분리 |
분리할 수 없는 전체 |
성격결정의 요인 |
과거, 무의식 |
현재와 미래, 의식 |
성격형성의 주요인 |
성(Sex) |
사회적 관심 |
자아의 역할 |
원초아와 초자아의 중재 |
창조적인 힘 |
부적응의 원인 |
5세 이전의 외상경험 성격구조의 불균형 |
열등 콤플렉스 파괴적 생활양식 및 사회적 관심 결여 |